파이썬을 이용한 sorting 정렬탐색과 선택, 삽입, 버블
정렬 개요 sorting 이번에는 파이썬 자료구조 정렬과 탐색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렬의 개념과 알고리즘 동작, 그리고 집합관련 연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이해하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정렬 알고리즘 종류에는 Selection Sort, Bubble Sort, Quick Sort, Insertion Sort, Shell Sort,...
정렬 개요 sorting 이번에는 파이썬 자료구조 정렬과 탐색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렬의 개념과 알고리즘 동작, 그리고 집합관련 연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이해하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정렬 알고리즘 종류에는 Selection Sort, Bubble Sort, Quick Sort, Insertion Sort, Shell Sort,...
코딩테스트를 할때 데이터 입력값이 한두개이거나 한줄에 불과하면 input을 사용하는 것에서 만족했지만 이번에는 이야기가 좀 다릅니다. 1줄당 3개의 값이 들어오는데 몇 줄이 들어오는지 안알려준다? 그럴때 필요한게 sys.stdin.readline() 당연히 sys는 import해서 가져오고 표준 입력(Standard input)은 프로그램에 입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탐색, 맵, 엔트리, 딕셔너리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탐색은 테이블에서 원하는 탐색키를 가진 레코드를 찾는 작업입니다. 맵 또는 딕셔너리는 탐색을 위한 자료구조로 엔트리 또는 키를 가진 레코드의 집합 입니다. 사전의 구성요소는? 엔트리 키(key) : 영어 단어와 같은 레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탐색 키 값(value): ...
파이썬의 내장함수인 map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번에 다른 형태로 바꾸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주로 list와 tuple과 함께 사용하지요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map(변환 함수, 순회 가능한 데이터) list와 함께 사용 예시를 보겠습니다. a = [1.2, 2.5, 3.7, 4.6] 라는 리스트가 있는데 한꺼번에 얘네들을 정수형으로 바꾸...
아스키코드의 뜻은 미국 정보교환 표준 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줄여서는 ASCII라고 표현합니다. 컴퓨터는 0과1 2비트로 모든것을 연산하는데 그렇다면 글자는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해서 각문자에 대해서 숫자를 매칭시켜 버립니다. 아스키코드표 ord 문자열을 아스키...
오늘도 어김없이 코딩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서 문제를 이것저것 풀어보는데 2차원배열 문제에서 값이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만약에 numpy를 사용했다면 np.zeros((n,n))으로 간단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겠지만 이런거 없이 리스트와 반복문을 이용해서 한번 2차원 배열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First method to...
파이썬에는 파이썬다운 방식이라는 고유한 철학이 있습니다. 언어차원에서 Zen of Python이라는 이름으로 철학을 제공하는데 import this로 이를 볼 수 있습니다. import this this를 import하면 볼 수 있습니다. The Zen of Python, by Tim Peters Beautiful is better th...
파이썬 /, %, //, divmod 연산자 뜻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 나누기 % 나머지 반환 // 몫 반환 divmod(a,b) -> 몫, 나머지 한번에 내가 멍청해서 그런가 이상하게 한번씩 생각이 안나서 뇌정지온다. 그거 말고도 나머지 거듭 제곱을 포함한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 덧셈 1+2 =&g...
엑셀 파일을 집어 넣으면 (1) 셀 선택 모드 (Command Mode) ImportError: Missing optional dependency ‘xlrd’. Install xlrd >= 1.0.0 for Excel support Use pip or conda to install xlrd. 이런식으로 에러 메세지가 출력 되는데 말그대로...
Jupyter 주요 단축키 모음 (1) 셀 선택 모드 (Command Mode) [esc] 또는 [ctrl] + [m]를 눌러 셀이 아래와 같이 파란색이 된 상태(셀 선택 모드)에서 해당 단축키 누른다. 위로 셀 추가 [a] 아래로 셀 추가 [b] 선택 셀 삭제 [d][d] (d를 두번 누름) 선택 셀 잘라내기 (삭제로 써도 무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