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실 배정 백준 1931번 그리디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문제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문제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
개발 공부를 시작하고나서 TDD 테스트 주도 개발은 장고를 배우면서 처음 보았다. 카테고리나, 제목, 태그등 특정 요소가 잘 로딩이 되었는지 어떤 목적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출력을 하는지 확인해나가며 개발하는 것이었고 그 취지와 중요도는 충분히 공감하였다. 그러다가 스타트업에 면접을보게 되면서 CTO님에게 물었던 것 중 “코드리뷰 문화”에 대한 것이었는...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문제 45656이란 수를 보자. 이 수는 인접한 모든 자리의 차이가 1이다. 이런 수를 계단 수라고 한다. N이 주어질 때,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총 몇 개 있는지 구해보자. 0으로 시작하는 수는 계단수가 아니다. mod = 1000000000 num = int(input()...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7 문제 준규가 가지고 있는 동전은 총 N종류이고, 각각의 동전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동전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을 K로 만들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리디 문제는 조금 풀기 까다로운 면이 있습니다. 이번 동전 문제의...
https://www.acmicpc.net/problem/15486 어… 그런데 이 문제 퇴사 백준 14501번 DP 이것과 똑같이 나와서 뭐가 다른지 찾아보았더니 퇴사 1의 경우 N의 크기가 1부터 15였다면 퇴사 2는 1부터 1500000까지 입력크기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퇴사 1의 경우 DP가 아니라 완전탐색으로 문제를 풀 수 있...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를 k라 했을 때, 그 변에 길이가 k인 정삼각형을 추가한다. 파도반 수열 P(N...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3 문제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10, 20, 10, 30, 20, 50} 인 경우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 {10, 20, 10, 30, 20, 50} 이고, 길이는 4이다. 바...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5 문제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증가 부분 수열 중에서 합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1, 100, 2, 50, 60, 3, 5, 6, 7, 8} 인 경우에 합이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은 A = {1, 100, 2, 50, ...
https://www.acmicpc.net/problem/1912 문제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이 주어진다. 우리는 이 중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구할 수 있는 합 중 가장 큰 합을 구하려고 한다. 단, 수는 한 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 -4, 3, 1, 5, 6, -35, 12, 21, -1 이라는 수열이 주...
https://www.acmicpc.net/problem/2193 문제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