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솟값 찾기 백준 11003번 덱
https://www.acmicpc.net/problem/11003 문제 N개의 수 A1, A2, …, AN과 L이 주어진다. Di = Ai-L+1 ~ Ai 중의 최솟값이라고 할 때, D에 저장된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i ≤ 0 인 Ai는 무시하고 D를 구해야 한다. 백준이 문제가 많은거는 좋은데…. 테스트케이스가 너무 몇...
https://www.acmicpc.net/problem/11003 문제 N개의 수 A1, A2, …, AN과 L이 주어진다. Di = Ai-L+1 ~ Ai 중의 최솟값이라고 할 때, D에 저장된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i ≤ 0 인 Ai는 무시하고 D를 구해야 한다. 백준이 문제가 많은거는 좋은데…. 테스트케이스가 너무 몇...
지금 당장 급한 취준하고는 조금 동떨어져있지는 않을까 하지만 그래도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MLOps를 준비한다면 알고가면 좋을것 같았고 실제로도 되게 책이 괜찮아서 머신러닝 디자인패턴에 대해서 조금씩 시간나면 챙겨보고 있었습니다. 다만 당장 제가 필요해서 보는거는 아니다보니 책 내용이 잘 들어오지 않고 좀 붕뜨는거 같아서 컴퓨터비전 부분만 정리를 하고 ...
최근 컴퓨터비전/딥러닝 분야를 준비하면서 학문 그 자체에 대한 공부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일단 용어정리부터 쭉 하자는 생각으로 다시 포스팅을 작성을 하였습니다. 이것만 쓰고 이력서 마저 쓰러 가야겠네요 시작에 앞서 생성모델에 대한 간단한 정의와 이것을 왜 사용하는지부터 천천히 봅시다. 무작정 배우는데 급급하다보면 핵심을 놓치게 되는데 그러면 나중에 한...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7119731 인공지능의 발전은 놀라운 수준으로 올라왔고 그중 테슬라의 자율주행은 항상 컴퓨터 비전을 언급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주제입니다. 실제로 같은 거리를 이동할때 사람보다 테슬라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율이 현저하게 낮게 나옵니다. 다만 테슬라의 자율...
https://www.acmicpc.net/problem/5430 문제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뒤집기)과 D(버리기)가 있다.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이 ...
https://www.acmicpc.net/problem/1021 문제 지민이는 N개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양방향 순환 큐를 가지고 있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몇 개의 원소를 뽑아내려고 한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원소를 뽑아낸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원래 큐의 원소가 a1, …, ak...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
https://www.acmicpc.net/problem/6549 문제 히스토그램은 직사각형 여러 개가 아래쪽으로 정렬되어 있는 도형이다. 각 직사각형은 같은 너비를 가지고 있지만, 높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왼쪽 그림은 높이가 2, 1, 4, 5, 1, 3, 3이고 너비가 1인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히스토그램이다. 히스토그램에...
https://www.acmicpc.net/problem/3015 문제 오아시스의 재결합 공연에 N명이 한 줄로 서서 기다리고 있다. 이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기 위해 줄에서서 기다리고 있던 백준이는 갑자기 자기가 볼 수 있는 사람의 수가 궁금해 졌다. 두 사람 A와 B가 서로 볼 수 있으려면, 두 사람 사이에 A 또는 B보다 키가 큰 사람이 없...
https://www.acmicpc.net/problem/17298 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큰수 NGE(i)를 구하려고 한다. Ai의 오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