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렬된 시퀸스를 탐색할때 이진탐색 bisect 사용방법
Post
Cancel

정렬된 시퀸스를 탐색할때 이진탐색 bisect 사용방법

일반적으로 정렬되었다는 가정하에 어떤 원소를 가장 빠르게 찾는 방법은 이진탐색을 수행하는 것이고 이 이진 탐색을 위해서 파이썬 내장함수로 준비된게 bisect입니다.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처리해야하는지 유형에 관계없이 리스트에서 index함수를 사용해 특정값을 찾아내려면 리스트 길이에 선형적으로 비례를 합니다.

운이 좋아서 첫번째에 있다면 O(1)이지만 재수없게 마지막에 있다면 O(n)의 시간복잡도가 필요하고 이를 평균으로 내면 O(n)의 시간복잡도를 지니게 됩니다.

1
2
3
data = list(range(10**5))
index = data.index(91234)
assert index == 91234

찾는 값이 리스트 안에 들어 있는지 모른다면 원하는 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의 인덱스 중 가장 작은 인덱스를 찾고 싶을 것입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리스트를 앞에서 부터 선형으로 읽으면서 원소를 찾는 것이고 이때 시간복잡도는 O(n)이겠지요

1
2
3
4
5
6
7
8
def find_closet(sequence,goal):
    for index, value in enumerate(sequence):
        if goal < value:
            return index
    raise ValueError(f'범위를 벗어남 : {goal}')
    
index = find_closet(data,91234.56)
assert index == 91235

전체 과정을 0부터 for문을 돌리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사용할 파이썬 내장 bisect 모듈은 순서가 정해져 있는 리스트에 대해 이런 유형의 검사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합니다. bisect_left 함수를 사용하면 정렬된 원소로 이뤄진 시퀸스에 대해 이진 검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bisect_left가 반환하는 인덱스는 리스트에 찾는 값의 원소가 존재하는 경우 이 원소의 인덱스이며, 리스트에 찾는 값의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렬 순서상 해당 값을 삽입해야할 자리의 인덱스 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

index = bisect_left(data, 91234) #정확히 일치
assert index == 91234

index = bisect_left(data, 91234.56) #근접한 값과 일치
assert index == 91235

index = bisect_left(data, 91234.23) #근접한 값과 일치(찾는값 이상에서 근접한 것을 찾음)
assert index == 91235

left대신 right도 있습니다.

bisect 이진탐색이 사용하는 복잡도는 로그복잡도 입니다. timeit를 이용해서 확인하면 실제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bisect.bisect_lef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bisect_righ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insort_lef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insort_righ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는 이렇게 4가지의 매서드가 있습니다. left는 찾는 값의 왼쪽을 기준 right는 찾는 값의 오른쪽을 기준으로 합니다.

bisect_left

left와 right의 위치를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찾고자하는 인덱스보다 같거나 큰값을 기준으로 반환을 합니다.

91234라는 인덱스가 존재하니 left는 그자리를 반환하지만 right는 그보다 한칸 큰 값을 반환합니다.

bisect_right

이 경우에는 left와 right의 값이 같게 나옵니다.

1
2
3
bisect.insort_lef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insort_right(a, x, lo=0, hi=len(a), *, key=None)

bisect.insrot는 먼저 biset_left를 수행해서 인덱스를 찾고 거기에다가 값을 삽입을 합니다.

그리고 inseort_right도 위와 마찬가지 입니다.

insort_left

둘이 작동을 하면 사실 비슷하게 작동을 하지만 역시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left의 경우 x가 a에 이미 있으면, 삽입 위치는 기존 항목 앞(왼쪽)이 됩니다. 반환 값은 a가 이미 정렬되었다고 가정할 때 list.insert()의 첫 번째 매개 변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right는 bisect_left()와 비슷하지만, a에 있는 x의 기존 항목 뒤(오른쪽)에 오는 삽입 위치를 반환합니다.

즉 다시 말해서 1(a) 2(a) 3(a)가 있을때

bisect left는 1(a) 왼쪽에다가 삽입을 하고1(b) 1(a) 2(a) 3(a)

bisect right는 1(a) 오른쪽에 넣게 됩니다.

1(a) 1(b) 2(a) 3(a)

어떤 인덱스를 찾거나 삽입을할때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Comments powered by Disqus.